반응형
- 투자의 기본 원칙 : 상관성이 낮은 자산에(예: 주식과 채권) 분산 투자, 추세에 따라 비중을 조절하는 리밸런싱
- 추세를 따르는 매매(모멘텀 효과) - 손실은 제한, 수익은 무한대로 열려 있는 구조.
- 추세를 거스르는 방법 (쌀때 사고 비쌀때 판다고 생각하는 전략) - 수익은 제한,손실은 무한대로 열려 있는 구조.
- 주가의 추세가 없이 박스권 횡보의 경우 : 단기적으로는 역추세 전략이 수익을 줄수 있다. but 장기적으로는 추세의 방향을 따라 매매를 하는 방향이 수익을 낼 수 있다.
질문1) 추세는 어떻게 알수 있나??
=> 시장이 상승장인지 하락장인지 구분하는것은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것이 아니라, 나름대로의 기준을 잡으면 된다.
예) 주가가 최근 5일 평균 보다 높으면, 5일 기준 상승추세, 6개월 평균보다 높으면 6개월 기준상승 추세 등
어떤 기준, 시간간격으로 추세를 정의하건, 추세를 따르는 방향으로 매매를 하면 장기적으로 수익곡선은 우상향 한다.
결론: 상승장에서는 강하게 베팅하고 하락장에서는 비중을 줄인다.
뒷장에 이어서 모멘텀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!
* 참고도서: 주식투자 ETF로 시작하라, 거인의 포트폴리오
반응형
'경제- 재테크, 부동산, 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.12.3 한국경제신문 토픽 (2) | 2024.12.03 |
---|---|
경제 신문 읽기 , 어떻게 읽으면 좋을까? (0) | 2023.10.31 |
주식 저점 고점 신호는 무엇? (홍춘옥의 투자에도 순서가 있다) (1) | 2023.10.27 |
미국채 금리 상승, 원인은? (0) | 2023.10.20 |
경제 사이클에 따른 투자 종목 (0) | 2023.10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