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- 재테크, 부동산, 금융 11

거시적 경제흐름에 따른 투자 전략

스스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표로 정리해보았다. 수학공식처럼 될일은 아니겠지만 대략적인 흐름이 이러하다 하고 이해하면 될것 같다. 지금 경제 상황은 후퇴기가 아닐까 싶다.. - 주식 및 부동산의 경우 침체기에 가격이 하락했을때 미리 사두면 회복기, 호황기가 되었을때 많이 오를것이다 -반대로 국채와 같은 채권은 금리가 낮아지기 시작하여 채권의 가격이 오르는 조짐이 보이는 후퇴기에 매수하여 침체기 또는 회복기 초입에 매도한다. 장기채권은 금리 변화에 따른 가격변동폭이 크다. -하이일드와 같은 채권은 주식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이해하면 된다,침체기에 경제 상황이 안좋아 가산금리를 많이 주고 가격은 싸다.그러나 침체기에 신용도가 낮은 채권을 매매 하기란 쉽지 않을것이므로, 회복기에 매수하여, 호황기때 매도하..

도서- 부동산투자의 정석

부동산 수익창출 시스템 만들기 1단계: 전세레버리지 투자- 시스템구축 -부동산으로 수익창출, 그 수익으로 부동산을 또 산다. (여기서 만들어 지는 부동산수익은 전세금 상승분) 2단계: 수익형부동산 => 현 시점에서 1단계 투자의 문제점 = > 취득세 문제 - 해법1 : 세법 개정변화를 지켜 봐야한다. - 해법 2: 비조정지역1채,오피스텔1채, 조합원입주권(관리처분인가가 난 입주권인경우 취득세4.6%)1채 *나의 의문 : 임대차 보호법에 의해 전세가 4년 기준으로 갱신 한다면 , 전세금상승분은 4년을 기다려야 얻을수 있다. 책에서 말한것과 같이 2년이 기준이 아니다. 핵심부동산을 찾고 투자하기 : 꾸준히 가격이오르며,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, 위기에 가격이 폭락하지 않고 빠르게 ..

경제 카테고리를 만들게 된 이유

작년 결혼을 하면서, 남편과 나는 내집마련을 하였다. 대출금이 60%를 차지하고 있고, 우리가 매입한 가격은 꼭지점이었다. 시간이 지나 보니, 우리가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크나큰 후회와, 그런 선택을 한 나 자신을 원망까지 하게 되었다. 우리는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. 짧고 허접한 정보들을 토대로 집을 사기로 결심했고, 실행했다. 이미 지난일에 대해 계속 후회만 하고 있자니 우울하기만 했다. 마치 벼락거지가 된 기분이 이런거구나...하고 느꼈다. 이미 늦은것 같지만, 지금이라도 공부를 하기로 했다.이 실수를 만회하고 자산을 증식 하기 위해 경제와 투자에 대한 공부를 하고자 한다. 이 카테고리의 글들은, 경제공부 초보자인 내가 책과 기사, 유튜브 등을 통해 공부한 내용을 써내려간 글들이며 내가 공부하여 ..